캠프개요
참가대상
- 미래인재과정(레벨1) : 2014년 기준 초등학교 3학년 ~ 4학년
- 융합리더과정(레벨2) : 2014년 기준 초등학교 5학년 ~ 6학년
- kaist미디어랩과정(레벨3) : 2014년 기준 중학교 1학년 ~ 2학년
캠프일정
1월
- 1차캠프 1월 4일~6일
- 2차캠프 1월 6일~8일
- 3차캠프 1월 11일~13일

미래인재과정(level1)
개요
목적
- 다양한 분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산출물을 만들며 사고력 및 창의력 증진
- 학생 중심의 탐구 체험 학습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배양
- 각 분야별 진로탐색과정과 kaist 멘토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목표 설정
과정
프로젝트 단위 단계별 학습
- step1 이론 : 교과과정을 기반으로 한 과학지식습득 및 심화학습 제공
- step2 실험,실습 : 기본 이론과 관련된 실험 및 실습을 하여 이해도를 높이고 학생들에게 동기부여
- step3 제작 : 프로젝트를 직접 제작하고 완성한 후 수행 결과 발표 및 공유
관련전공
프로그램 | 관련전공 |
---|---|
빛을 품을 테실레이션 | 광학, 기하학, 아트, 그래픽, 감성공학 |
나만의 이모티브 스토리북 | 전기전자공학, 미술, 문학 |
computational thinking | 컴퓨터, 알고리즘, 수학, 소프트웨어 |
인터랙티브 LEC 큐브 | 전기전자공학, 광학, HCI |
일정
시간 | 1차 캠프 | ||
---|---|---|---|
1일차 | 2일차 | 3일차 | |
8:00~9:00 | 조식 | ||
9:00~10:00 | Kaist 선배들의 학습멘토링 | 문화기술분야 인터랙티브 LED 큐브 | |
10:00~11:00 | |||
11:00~12:00 | 1차 등록 및 입소식 | 1차 퇴소식 | |
12:00~1:00 | 중식 | ||
1:00~2:00 | 아이스브레이킹 | 전자공학분야 나만의 이모티브 스토리북 | |
2:00~3:00 | 예술과학분야 - 빛을 품은 테셀레이션 | ||
3:00~4:00 | ict & 수리과학분야 - computational thinkng | ||
4:00~5:00 | |||
5:00~6:00 | 첨단과학특강 | ||
6:00~7:00 | 석식 | ||
7:00~8:00 | 전자공학분야 | 문화기술분야 | |
8:00~9:00 | 포트폴리오 정리 및 멘토와의 시간 | 포트폴리오 정리 및 멘토와의 시간 |
프로그램 소개
빛을 품을 테셀레이션
- 평행이동, 반사, 회전 등의 수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테셀레이션을 직접 만들 수 있습니다.
- 기하학적 원리와 수학적 개념을 토대로 발전한 예술에 대해 탐구합니다.
- 실험을 통해 빛과 거울의 성질에 대해 알고, 이를 바탕으로 테셀레이션 빛 상자를 제작합니다.
나만의 이모티브 스토리북
- 전기의 성질과 전자회로에 대한 기초지식을 배우고 간단한 실험을 통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.
- 주어진 회로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나만의 이모티브 스토리북을 만들 수 있습니다.
computational thinking
- 언플러그드 활동과 엔트리봇 보드게임을 통해 기초적인 컴퓨터적 사고를 연습합니다.
- mit 미디어랩에서 개발한 교육용 소프트웨어인 스크래치를 이용하여 논리적으로 알고리즘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.
- 스크래치를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사물 인터페이스에 대해 이해합니다.
인터랙티브 LED 큐브
- 현대미술과 인터랙티브아트에 대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.
- 다양한 센서의 종류와 기능을 알아보고, 이를 응용한 생활 속 과학원리를 찾아 봅니다.
- 앞에서 배운 전기공학 지식을 바탕으로 센서와 LED를 이용하여 직접 인터랙티브 큐브를 만들어 봅시다.

융합리더과정(level2)
개요
목적
- 다양한 분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산출물을 만들며 사고력 및 창의력 증진
- 학생중심의 탐구 체험학습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배양
- 각 분야별 진로탐색과정과 KAIST 멘토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목표 설정
과정
프로젝트 단위 단계별 학습
- step01이론
교과과정을 기반으로 한 과학지식 습득 및 심화학습 제공
- step02실험·실습
기본 이론과 고나련된 실험 및 실습을 하여 이해도를 높이고 학생들에게 동기부여
- step03제작
프로젝트를 직접 제작하고 완성한 후 수행 결과 발표 및 공유
관련전공
프로그램 | 관련전공 |
---|---|
computational thinkng | 컴퓨터, 알고리즘, 수학, 소프트웨어 |
코드네임 : 미션 임파서블 | 전기전자공학, 광학 |
뉴로피드백 | 바이오 및 뇌 공학, 전기 전자 공학, 생물 |
joule thief | 에너지, 전기전자공학, 물리학 |
일정
시간 | 1차 캠프 | ||
---|---|---|---|
1일차 | 2일차 | 3일차 | |
8:00~9:00 | 조식 | ||
9:00~10:00 | Kaist 선배들의 진로멘토링 | 전기공학분야 joule thief | |
10:00~11:00 | |||
11:00~12:00 | 1차 등록 및 입소식 | 1차 퇴소식 | |
12:00~1:00 | 중식 | ||
1:00~2:00 | 아이스브레이킹 | 전자공학분야 코드네임 : 미션임파서블 | |
2:00~3:00 | ict&수리과학분야 computational thinking | ||
3:00~4:00 | 바이오뇌공학분야 뉴로피드백 | ||
4:00~5:00 | |||
5:00~6:00 | 첨단과학특강 | ||
6:00~7:00 | 석식 | ||
7:00~8:00 | 전자공학분야 | 전기공학분야 | |
8:00~9:00 | 포트폴리오 정리 및 멘토와의 시간 | 포트폴리오 정리 및 멘토와의 시간 |
프로그램소개
Computatio nal Thinking
- 언플러그드 활동과 엔트리봇 보드게임을 통해 기초적인 컴퓨터적 사고를 연습합니다.
- MIT 미디어랩에서 개발한 교육용 소프트웨어인 스크래치를 이용하여 논리적으로 알고리즘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.
- 스크래치를 하드웨어와의 연동하여 사물인 터페이스에 대해 이해합니다.
Computatio nal Thinking
- 언플러그드 활동과 엔트리봇 보드게임을 통해 기초적인 컴퓨터적 사고를 연습합니다.
- MIT 미디어랩에서 개발한 교육용 소프트웨어인 스크래치를 이용하여 논리적으로 알고리즘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.
- 스크래치를 하드웨어와의 연동하여 사물인 터페이스에 대해 이해합니다.
바이오 및 뇌공학
- 몸속에 있는 뇌의 생김새와 구조에 대해 알아 봅니다.
- 뇌의 각 영역이 하는 역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으며, 뇌 과학이 무엇이고 ㅓ어떤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탐구합니다.
- 앞에서 배운 전기공학 지식을 바탕으로 뇌의 구조를 알 수 있는 뇌 인형을 직접 만듭니다.
Joule Thief
- 전류, 전압, 저항 등의 기본 개념을 학습합니다.
- 실험을 통해 전자기유도현상과 이를 이용한 승압에 대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.
- 실험에서 만든 승압장치와 회로를 바탕으로 충전이 가능한 랜턴을 만들어 봅니다.

kaist 미디어랩과정(level3)
개요
목적
- 다양한 분야의 용합을 통해 새로운 산출물을 만들며 사고력 및 창의력 증진
- 학생 중심의 탐구 체험 학습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배양
- 각 분야별 진로 탐색 과정과 kaist 멘토들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목표 설정
과정
임베디드 프로그램 중심의 융합 프로젝트
- computational thinking
- 마이크로 프로세서 embeded program
- 문화예술분야
- 전자공학분야
- 의료공학분야
- 정보과학적 사고력에 기반한 문제해결 능력 개발
- 문제의 표현과 해결을 위한 알고리즘 설계
- 정보과학 매체를 사용하여 문제해결 방법을 창의적으로 고안
일정
시간 | 1차 캠프 | ||
---|---|---|---|
1일차 | 2일차 | 3일차 | |
8:00~9:00 | 조식 | ||
9:00~10:00 | Kaist 선배들의 진로멘토링 | 의료공학 프로젝트 2 | |
10:00~11:00 | |||
11:00~12:00 | 1차 등록 및 입소식 | 1차 퇴소식 | |
12:00~1:00 | 중식 | ||
1:00~2:00 | 아이스브레이킹 | 문화예술 프로젝트 2 | |
2:00~3:00 | computational thinking | ||
3:00~4:00 | 전자공학 프로젝트 1, 2 | ||
4:00~5:00 | |||
5:00~6:00 | 첨단과학특강 | ||
6:00~7:00 | 석식 | ||
7:00~8:00 | 문화예술 프로젝트 1 | 의료공학 프로젝트 1 | |
8:00~9:00 | 포트폴리오 정리 및 멘토와의 시간 | 포트폴리오 정리 및 멘토와의 시간 |
프로그램 소개
computational thinking
- 언플러그드 활동과 엔트리봇 보드게임을 통해 기초적인 컴퓨터적 사고를 연습합니다.
- mit 미디어랩에서 개발한 교육용 소프트웨어인 스크래치를 이용하여 논리적으로 알고리즘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.
- 스크래치를 통해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사물 인터페이스에 대해 이해합니다.
문화예술 프로젝트
- 아두이노와 pc간의 통신방법에 대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.
- 전자 악기에 사용되는 과학적 원리와 기술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.
- 피에조 센서의 역할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드럼을 제작하여 연주해 봅시다.
전자공학 프로젝트
- 모터와 모터 드라이버의 사용법을 배우고 축구로봇의 본체를 제작합니다.
- 근거리 무선 기술인 블루투스를 사용하여 아두이노와의 통신을 통해 제어 장치를 구현합니다.
- 직접 축구로봇을 만들고 경기를 할 수 있습니다.
의료공학 프로젝트
- 의학과 기술의 발전, 그리고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 산업의 배경을 알아봅시다.
- 간단한 심박 측정 실험을 통해 센서의 기능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습니다.
- 회로도를 읽고 분석하여 직접 전자 청진기를 만들어 봅시다.
